[천지인뉴스] 울산 동서발전 보일러 타워 붕괴, 7명 매몰…이재명 대통령 “총력 구조 지시”
정범규 기자

울산광역시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서 60m 높이의 보일러 타워가 붕괴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소방 당국은 즉시 구조작업에 돌입했으나, 작업자 7명이 여전히 매몰된 상태다.
이재명 대통령은 “인명 구조에 국가의 모든 역량을 투입하라”며 총력 대응을 지시했다.
6일 오후 2시 2분경 발생한 이번 사고는 울산발전본부 내 노후 보일러 타워 철거 작업 도중 구조물이 갑작스럽게 무너져 내리며 발생했다. 보일러 타워는 전력 생산용 터빈에 증기를 공급하는 주요 철제 구조물로, 약 30년간 사용돼 왔으며 지난달부터 해체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
사고 직후 소방당국은 긴급 출동해 현장에서 2명을 구조했으며, 부상자들은 생명에 지장이 없는 상태로 병원으로 이송됐다. 그러나 나머지 7명의 작업자는 여전히 철제 잔해 아래에 매몰된 상태로 전해졌다. 매몰자 전원은 협력업체 소속 근로자로 확인됐다.
소방청은 이날 오후 3시 13분,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하고 인근 광역단체의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했다. 부산·대구·경북·경남 소방본부 특수대응단과 중앙119구조본부 인력이 현장에 투입됐으며, 구조견·드론·대형 소방헬기·야간 조명차 등도 긴급 배치됐다. 현장에는 붕괴 잔해가 뒤엉켜 있어, 구조 작업은 야간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현재 경찰과 소방당국은 사고 현장을 전면 통제하고, 잔존 구조물의 추가 붕괴 위험에 대비해 단계적 진입을 시도 중이다. 또한 고용노동부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여부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할 예정이며, 철거 안전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강제 점검을 예고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사고 보고를 받은 직후 “인명 구조가 최우선”이라며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하고, 구조 인력의 2차 사고 예방에도 철저히 대비하라”고 긴급 지시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부는 피해자 가족 지원 및 현장 안전 확보를 위해 관계부처 합동대응팀을 가동 중”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고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에도 반복되고 있는 산업현장의 구조적 안전 부실 문제를 다시금 드러냈다. 최근 정부가 산업안전 예산을 삭감하고 민간 위탁 구조를 확대하면서 “현장 관리가 더 허술해졌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특히 노후화된 발전시설의 철거·정비 과정에서 안전 점검이 제대로 이뤄졌는지가 핵심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노동계와 시민단체는 “이번 사고는 예견된 참사”라며, 하청업체 중심의 위험 외주화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지 않는 한 비슷한 사고는 반복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울산시는 인근 주민 대피를 준비하고, 추가 붕괴 가능성에 대비해 출입을 전면 통제한 상태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