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3-04-19
윤 대통령은 19일 보도된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우크라이나 민간인에 대한 대규모 공격이라든지, 국제사회에서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대량 학살이라든지, 전쟁법을 중대하게 위반하는 사안이 발생할 때는 인도 지원이나 재정 지원에 머물러 이것만을 고집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윤 대통령은 한국이 6·25전쟁 기간 국제 원조를 받았던 것과 같이 우크라이나 방위 및 재건을 도울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는 언급도 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날 윤 대통령의 발언은 ‘살상용 무기 불가’라는 정부의 기존 입장과는 다른 차원으로 해석된다.
윤 대통령의 발언은 살상용 무기 지원뿐만 아니라 파병 가능성까지 염두에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로이터통신도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 제공 의사를 밝힌 것은 1년여 만에 처음”이라고 해석했다.
‘민간인 대규모 공격’ 등 전제 조건을 달기는 했지만 ‘살상무기 지원불가’라는 정부 입장의 변경 가능성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것이어서 큰 논란이 생기고있다.
또한 살상무기 지원이 현실화할 경우 러시아와 한국 관계가 회복불가능한 수준으로 악화하고 동아시아 긴장이 격화할 수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정범규 기자 뉴스제보 chonjiinnew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