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성폭력을 정쟁 수단으로 삼은 이준석 후보, 국민 앞에 사죄하라

2025년 5월 27일,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3차 토론회에서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발언으로 공분을 자아냈다. 이 후보는 토론 도중, 권영국 정의당 후보에게 성폭력적 문장을 인용한 발언을 하며 “이것은 성폭력이 아닙니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문제는 그가 인용한 문장이 여성 비하와 성적 혐오를 동반한 극단적인 내용이었다는 점이며, 이러한 표현을 다수의 국민이 지켜보는 공영방송에서 그대로 내뱉었다는 사실 자체가 충격적이다.
이 발언은 단순한 정치 공세를 넘어선 명백한 2차 가해다. 성폭력 피해와 관련한 민감한 표현을 ‘정치적 무기’로 삼아, 타 후보를 공격하는 수단으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이 후보의 정치 윤리와 성인지 감수성은 치명적인 결함을 드러냈다. 정치인이 성범죄와 같은 중대한 사회 문제를 다룰 때 요구되는 것은 신중함과 책임 의식이지, 자극과 선동이 아니다.
더 큰 문제는 이 후보의 태도다. 그는 해당 발언이 ‘성범죄에 대한 문제 제기’라고 해명했지만, 그 어떤 맥락에서도 해당 발언을 그대로 옮겨 방송에서 사용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는 없다. 실명을 거론하지 않더라도 피해자가 존재할 수 있고, 수많은 성폭력 생존자들이 그 장면을 보며 고통을 느꼈을 수 있다. 그 발언이 언급된 순간, 피해는 다시 발생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준석 후보는 발언 당시 태도와 말투 모두가 공격과 조롱의 목적임을 보여준다. 이는 단순히 말의 내용뿐 아니라, 말하는 방식 자체가 상대를 향한 권력적 폭력임을 시사한다. 대통령 후보자라는 무게를 전혀 느끼지 못한 오만한 자세였다.
이준석 후보는 과거에도 여성 혐오를 정치 자산으로 삼아왔다. ‘여성가족부 폐지’라는 구호는 그 상징적 시작이었으며, ‘동덕여대 공학 전환’, ‘전장연 시위’ 등 사회적 소수자와 갈등의 경계를 일부러 자극하는 방식은 그의 정치 전략에서 반복되어왔다. 이번 발언도 그런 맥락의 연장선이다. 단지 더 자극적이고, 더 노골적일 뿐이다.
정치인은 국민의 통합을 말해야 한다. 하지만 이준석 후보는 끊임없이 분열을 조장하고 있다. 특히 젠더 갈등을 선거 전략으로 이용하는 것은, 소모적 갈등을 부추길 뿐 아니라 실질적 성평등을 위한 사회적 논의를 후퇴시키는 반사회적 행위이다.
이준석 후보는 지금이라도 스스로의 책임을 통감하고, 국민 앞에 정중히 사과해야 한다. 이번 발언은 토론 중의 ‘실수’로 넘어갈 수 없다. 성폭력을 언어로 재현하고, 여성의 고통을 정쟁에 이용한 정치인은 대통령 후보는커녕, 공직 후보로서의 자격도 없다.
토론회는 유권자에게 진실과 비전을 보여주는 장이다. 그러나 이준석 후보는 그 소중한 공간을 혐오와 조롱의 무대로 만들어버렸다. 그가 선택한 언어가 누구를 향한 칼날이 되었는지, 그 날의 발언을 통해 우리 정치가 어디에 서 있는지, 이제 국민이 분명히 판단할 것이다.
2025년 5월 28일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