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인뉴스] 이재명 대통령, 문화예술인 간담회서 “문화강국은 국력…기본소득 도입도 검토”
정범규 기자

일자리와 국력의 핵심으로 문화산업 강조
예술인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인 대통령
“관료주의 탁상공론 넘어 실효적 지원해야”
이재명 대통령은 6월 30일 오후 2시, 대통령실 파인그라스에서 열린 ‘문화강국의 꿈, 세계로 나아가는 대한민국’ 간담회에서 주요 문화예술인들과 만나 대한민국 문화정책의 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는 창작 현장에서 세계 무대를 두드린 예술인들의 생생한 경험과 제언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행사에는 토니상 6관왕에 빛나는 뮤지컬 <어쩌면 해피엔딩>의 박천휴 작가,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코망되르’를 수훈한 소프라노 조수미, 제78회 칸국제영화제 학생부문 1등 수상자 허가영 감독, 로잔발레 콩쿠르 우승자 박윤재 발레리노, 제주 방언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의 김원석 감독 등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예술인들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은 대선 기간 제주 방언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를 감명 깊게 시청했다며, “대한민국 문화의 잠재력을 체감했다. 문화산업은 일자리를 만들고 국력을 키우는 결정적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김원석 감독은 “한국적인 이야기가 세계를 감동시킨 건 보편성과 휴머니즘의 힘”이라며, 대통령이 제안한 ‘대규모 세트장 구상’에 대해 “중국 와이탄과 같은 전문 세트장이 한국에도 절실하다”고 화답했다.
조수미 성악가는 “개인의 재능과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세계 각국의 한국문화원이 문화 허브로 기능하도록 적극적인 국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발레리노 박윤재는 “해외 무용수들은 16세에 데뷔하지만 한국 남자 무용수는 군복무로 커리어가 단절된다”며 제도적 개선을 요청했다.
칸 영화제 수상자인 허가영 감독은 “상업영화 외에도 독립·예술영화 제작에 대한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고 호소하며, 비전공자인 자신이 한국영화아카데미 덕분에 국제무대에 설 수 있었다는 점을 언급했다.
뮤지컬 작가 박천휴는 “우리말과 감정을 담은 작품이 세계 무대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보편성을 국가가 믿고 밀어줘야 한다”며, 해외 진출 통로 마련이 가장 현실적인 정책임을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문화는 우리 사회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투자이자, 국가경쟁력의 핵심”이라며, 문화예술인 기본소득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직접 언급했다. 또한 “문화가 워낙 다종다양해 정책 우선순위 설정조차 어렵다”며 “탁상공론이 아니라 현장의 수요자들이 진짜로 원하는 정책을 과감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동행한 김혜경 여사는 “모교 선화예고 정문에 ‘이 문은 세계로 통한다’는 문구가 있었다”며 “정부가 예술인들이 세계 무대에서 문화의 꽃을 활짝 피울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