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인뉴스] 윤희숙이 혁신위원장? 당 쇄신은커녕 위선만 더했다

정범규 기자
“당원이 혁신의 주체”라는 선언, 실질적 권한은 없는 ‘허상 위원장’
안철수·김용태 “국민은 코미디로 본다”…혁신위 무용론 내부서 확산
윤희숙 임명 강행한 국민의힘, 쇄신 아닌 방탄 쇼로 끝날 위험 커져
국민의힘이 안철수 의원의 전격 사퇴로 좌초 위기에 놓인 혁신위원회를 재가동하며 윤희숙 전 의원을 위원장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 인선이 당내 쇄신에 대한 진정성보다는 ‘형식적 재시동’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윤 위원장은 9일 브리핑에서 “혁신의 주체는 당원”이라며, “어떤 칼도 당원으로부터 위임받은 적 없다”고 강조했지만, 이는 곧 실질적 인적 쇄신 권한이 없다는 선언이기도 했다.
이러한 발언은 오히려 당 혁신의 본질적 동력을 훼손하는 결과로 작용하고 있다. 전임자인 안철수 의원은 이른바 ‘쌍권’(권영세·권성동) 등 기득권 청산에 대한 지도부의 거부에 반발해 혁신위원장직을 던졌고, 김용태 전 비상대책위원장도 “한 달 뒤 전당대회 치르면서 또 혁신위를 내세우는 건 국민을 우롱하는 코미디”라며 정면 비판했다.
윤 위원장은 전당원 투표 기반의 당원 참여 혁신을 내세웠지만, 당내 회의론은 식을 줄 모른다. “당원 중심”이란 말은 좋지만 실질적 권한과 실행력이 뒷받침되지 않는 한, 이는 책임 회피의 수사에 불과하다. 혁신위가 당헌·당규상 아무런 의결 권한도 없다는 점에서, 윤 위원장의 구상은 사실상 ‘혁신을 포장한 무책임한 제안서’로 전락할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윤희숙 위원장 본인의 과거도 다시 도마에 오르고 있다. 그는 2021년 부친의 농지법 위반 논란 속에 의원직을 사퇴했으나, “책임을 지는 정치인의 본보기”라는 언론 포장에도 불구하고 이후 혐의 불기소 처분을 받았다. 당시의 ‘정치적 순교’ 이미지와 이번 임명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기엔 무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각에선 “친윤계 방어막을 치기 위한 방패 역할”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안철수의 퇴장, 홍준표·김용태 등 중진들의 공개 비판, 청년 세대의 냉소 속에서 윤 위원장이 내놓을 수 있는 혁신안이 당의 무게중심을 흔들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다. 한 당 관계자는 “인적 청산 없는 혁신은 결국 아무 것도 바꾸지 못한다”며 “지금은 혁신위가 아니라 지도부 전체의 의지 부재가 문제”라고 잘라 말했다.
국민의힘의 혁신위가 ‘무능한 집행부’와 ‘허울뿐인 절차’의 전형으로 귀결되는 것은 시간문제라는 전망도 나온다. 윤희숙 위원장이 진정한 혁신 주체로 기능하려면 당의 기득권 구조와 정면 충돌해야 하며, 당 지도부는 그 책임을 공동으로 져야 한다. 지금처럼 책임은 지지 않으면서 명분만 내세우는 ‘혁신 쇼’는 국민을 더 이상 속이지 못한다.
지금 필요한 건 말뿐인 개혁이 아닌, 구조를 건드릴 수 있는 실질적 혁신이다. 그것이 없다면 국민의힘 혁신위는 이름만 남고 신뢰는 떠날 것이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