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범규 기자

대통령실, 이규연 홍보수석 명의 입장문 통해 자진사퇴설 일축
한 언론매체 보도 이후 다수 매체가 무비판적으로 확산
익명 출처 의존한 사퇴 프레임, 검증 없는 보도 관행 도마 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자진 사퇴설’ 보도가 확산된 가운데, 대통령실이 공식 입장을 내고 해당 보도 내용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17일 새벽, 대통령실은 이규연 홍보소통수석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일부 언론의 보도는 사실과 다름을 바로잡는다”며 “대통령실은 기존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이 말하는 기존 입장은 “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원칙적 기조다. 이는 사전 낙마나 인사 중단을 검토하지 않고, 청문회 결과에 따라 입장을 정하겠다는 입장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대통령실의 입장이 발표되기 하루 전, 한 언론매체가 “여권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강 후보자가 자진 사퇴 쪽으로 기울고 있다는 내용의 보도를 냈고, 이후 이를 다수 언론이 그대로 받아쓰며 자진 사퇴설이 기정사실처럼 퍼져나갔다. 해당 기사들은 대부분 청문회 이전에 “대통령실 내부 기류 변화”를 강조했고, 일부 포털 메인에서는 “사퇴 수순”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했다.
결과적으로 대통령실이 이례적으로 직접 해명에 나선 상황은, 해당 보도의 근거와 인용 방식에 심각한 문제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특히 초기 보도의 핵심인 “여권 관계자”라는 익명 출처는 실제 대통령실 공식 판단과 무관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며, 언론이 인용의 책임을 지지 않은 채 ‘단독’ 타이틀만 남긴 전형적 오보 확산 사례로 이어졌다는 비판이 나온다.
이번 사례는 단순한 사실관계의 오류를 넘어, 검증 없는 의혹 보도→기정사실화→공식 반박→후속 보도 없음이라는 청문회 보도 구조의 병폐를 다시 확인시켰다. 강 후보자를 둘러싼 ‘보좌관 갑질’ 의혹 또한 익명 게시판을 통해 제기된 단편적 주장을 출처로 보도가 확산됐고, 이후 청문회에서의 해명은 대부분 주목받지 못한 채 묻혔다.
청문회 제도가 제기된 의혹에 대한 확인의 장이 되어야 한다면, 언론은 그 전 단계에서 ‘확정 보도’가 아닌 ‘검증 대기 보도’의 윤리를 지켜야 한다. 그러나 현재 언론은 여전히 추측성 정보와 익명 관계자 발언을 통해 후보자의 낙마 가능성을 미리 가늠하고 여론을 선도하는 구조를 반복하고 있다.
대통령실이 공식적으로 보도 내용을 부인했음에도, 이를 처음 보도한 언론이 해당 기사에 정정 또는 후속 설명을 덧붙였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정정보다 추측이 앞서는 언론, 해명보다 익명이 강한 구조, 그 가운데 진실은 늘 가장 늦게 도착한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