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인뉴스] 산청군, 760mm 폭우에 무너졌다…산사태·침수 피해 속출

정범규 기자
기록적인 폭우로 경남 산청군 일대에 막대한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 산불로 약해진 지반에 쏟아진 700mm 넘는 호우로 산사태·도로 붕괴 등 대규모 재난 발생
정부는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하고, 전담장관 파견 등 범정부 수습 대응 나서
2025년 7월 중순, 경남 산청군이 전례 없는 폭우로 초토화됐다. 16일부터 나흘간 시천면을 중심으로 최대 798mm, 군 평균 632mm의 비가 쏟아졌고, 이는 산청을 비롯한 인근 지역에 대규모 인명 피해와 산사태·침수 피해를 남겼다.
산청군은 이미 지난 3월 대형 산불로 지반이 약화된 상태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호우가 “한 번의 자연재해가 아니라, 연속된 재해의 복합 충격”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약해진 산사면에 무차별적으로 퍼부은 폭우는 순식간에 주택과 도로를 덮쳤고, 그 결과 인명 피해도 속출했다.
소방청과 경남도, 산청군 등에 따르면, 이번 재난으로 인해 산청 지역에서만 6명이 사망하고 7명이 실종됐다. 사망자 중에는 70대 노인 부부, 20대 여성도 포함되어 있다. 산사태로 매몰되거나 휩쓸린 주택이 260여 건, 농경지와 도로 피해는 500건을 훌쩍 넘는다. 전국적으로는 1만3천 명 이상이 대피했으며, 이 중 4천6백여 명은 여전히 귀가하지 못한 상태다.
지방자치단체와 정부는 대피소를 긴급 개방하고, 전국의 소방 구조대를 집결시켜 수색과 구조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산청을 포함한 경남 전역에는 국가소방동원령이 발령됐으며, 중대본은 경계 단계를 최고 수준으로 격상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긴급 지시를 통해 “모든 가용 자원을 투입하라”고 밝히며, 농림부 송미령 장관을 현장에 급파했다.
한편, 이번 폭우는 단순한 자연현상을 넘어서 기후위기의 한 단면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산림이 소실된 지역이 폭우에 극도로 취약하다는 점은 이미 전문가들 사이에서 경고돼 왔고, 이를 고려한 선제적 재해 방지 대책이 부실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산청군민들은 “산불로 뿌리째 탄 숲을 복구하기도 전에 쏟아진 물폭탄에 마을 전체가 잠겼다”며 “이 정도 피해가 날 줄은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다”고 호소했다.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는 정전과 통신 장애가 이어지고 있으며, 고립된 마을의 구조 요청이 이어지는 등 피해 집계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정부는 향후 피해 복구를 위한 예산 지원과 함께 특별재난지역 지정 여부를 검토 중이며, 이번 폭우에 대한 정밀한 원인 분석과 기후환경 대비책도 본격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기후위기 시대, 반복되는 산불과 폭우는 더 이상 ‘예외적인 재난’이 아니다. 이번 산청 참사는 대한민국이 ‘예방’보다 ‘수습’에만 의존한 재난 대응 체계를 어떻게 넘어설지 묻고 있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