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5-03-19
MBC 보도에 따르면, 군이 계엄 몇 달 전부터 종이로 만든 관을 대량으로 구매할 계획을 세운 사실이 드러났다. 이와 함께 시신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영현백’도 대량으로 사들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난해 8월 22일, 2군단 사령부 소속 군무원이 서울의 종이관 제조업체에 연락을 취했다. 그는 “군부대에서 영현, 즉 시신 이동 보관 업체를 알아보고 있다”며 제작 소요 시간과 운송 가능 개수를 문의했다. 특히, “사망자가 예를 들어 3천 개가 필요하다면 어떻겠냐”는 구체적인 질문을 던진 뒤, 종이관 1천 개의 가격에 대해 알아보았다. 해당 군무원은 구매 계획을 구체화하겠다고 했지만, 이후 연락이 없었고 업체에서도 종이관을 보내지 않았다.
MBC의 취재 결과, 군이 민간 업체에서 시신을 처리하기 위해 관을 구매한 전례는 지난 5년간 없었으며, 군 관계자에 따르면 창군 이래로도 이런 사례는 없었다. 연간 사망자가 100명도 되지 않는 군에서, 2군단에서만 1천여 구의 시신 처리를 예상한 계획이 갑자기 세워진 것이다. 육군은 지난해 1월 1천 883개의 영현백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12월에는 4천 940개로 급증했다. 이는 평소 보유량의 두 배 가까운 수치로, MBC가 기록을 확인한 2021년 이후 육군이 이렇게 많은 영현백을 보유한 적이 없었다.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전후로 군이 다수의 시신 발생에 대비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에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문재인 전 대통령, 이준석 의원 등을 ‘A’급 수거 대상으로 분류하고, 수거한 ‘A’급 처리 방안으로 “사고, 가스, 폭파, 침몰, 격침”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2군단은 종이관 문의 이유에 대해 “지난해 을지 자유의 방패 훈련 중 전시 사망자 처리에 대한 아이디어 차원으로 논의했다”며 실효성이 없어 중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육군은 비축한 영현백에 대해 “2022년 합참 지침에 따라 중기 계획상 반영된 물량이 12월에 납품된 것”이라며 비상계엄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내란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군의 갑작스러운 시신 발생 대비 계획은 의문을 자아낸다. 민주당은 이를 반인륜적 범죄로 간주하며, 군의 행동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있다. 최상목 권한대행과 국민의힘이 특검을 거부하는 이유에 대한 의혹도 제기되고 있어, 향후 사건의 전개가 주목된다.
정범규 기자 뉴스제보 chonjiinnew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