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인뉴스] 또 멈춘 한강버스, 부실한 준비와 예산 논란 확산

정범규 기자
출항 10분 만에 방향타 이상으로 회항
정식 운항 닷새 만에 세 번째 고장
막대한 사업비와 조선 과정 불투명성 도마 위
서울시가 야심 차게 추진한 한강버스가 또다시 멈춰 서며 시민들의 불신을 키우고 있다. 26일 낮 마곡 선착장을 출발한 104호선이 출항 10분 만에 방향타 결함으로 회항했고, 승객 70명이 강제로 하선했다. 해당 선박은 긴급 점검에 들어갔으며 이날 배정된 운항 일정은 모두 취소됐다.
이번 사고는 단순한 기술적 결함을 넘어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한 의혹으로 번지고 있다. 한강버스 사업에는 약 1,500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재원은 금융권 대출과 SH 대여금, 친환경 선박 보조금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 집행 과정에서 불투명성과 과다 비용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는 선착장 조성 등에 사용된 예산만 수백억 원대라고 설명하지만, 사업 전체를 둘러싼 불신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선박 건조 과정도 문제로 지적된다. 당초 한 조선소에서 일괄 제작하던 계획이 바뀌어 일부 선박이 다른 조선소로 넘어갔고, 변경된 업체에는 수십억 원의 선지급이 이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박은 정식 운항을 시작한 지 닷새 만에 세 번째 고장을 일으켰다. 출퇴근 대중교통을 내세운 사업임에도 안정성은 확보되지 못했고, 부실한 관리가 여실히 드러난 것이다.
고장은 이미 반복되고 있다. 전기 계통 이상으로 멈춰 선 사례가 있었고, 기상 변수 대응도 미흡해 팔당댐 방류에 따른 운항 중단이 이어졌다. 대체 선박 투입도 제때 이뤄지지 못하면서 시민 불편이 커지고 있다.
한강버스는 ‘친환경·첨단 교통수단’이라는 이름으로 대대적인 홍보 속에 추진됐지만, 실제로는 잦은 고장과 부실한 준비, 과다한 예산 논란으로 전시행정의 대표 사례가 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대표 정책 사업이 시민 안전과 혈세 낭비라는 비판의 한가운데에 선 것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변명이 아니라 철저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그리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다. 시민의 안전과 세금으로 추진되는 사업이라면 기본적인 안전성과 투명성부터 담보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한강버스는 실패한 전시행정으로 기록될 뿐이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