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인뉴스] 우원식 국회의장 “부마민주항쟁, 유신체제 끝낸 민주주의의 불씨… 헌법에 담겨야 한다”
정범규 기자

부마항쟁 기념재단과 면담 “헌법전문 수록은 국민이 만든 민주주의의 완성”
“4·19, 5·18, 6월 항쟁으로 이어진 시민의 용기 헌법에 새길 때”
개헌 논의 속 ‘민주 항쟁의 역사적 계승’ 강조
우원식 국회의장은 13일 오전 국회의장 집무실에서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박상도 이사장, 4·19혁명공로자회 문정수 회장,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이행봉 이사장, 이창곤 회장 등과 만나 부마민주항쟁의 역사적 의미와 헌법전문 수록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우 의장은 이 자리에서 “부마민주항쟁은 유신체제를 종식시키고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진전시킨 중요한 전환점이었다”며 “시민들이 독재에 맞서 거리로 나섰던 용기와 열망은 이후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 항쟁으로 이어지며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불씨를 지켜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부마항쟁의 정신이 헌법전문에 담기는 것은 국민이 만들어온 항쟁의 역사를 헌법 속에 새기는 일”이라며 “그 정신이 헌법에 녹아들어야 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리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회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개헌 논의를 준비하겠다”며 “민주주의를 위해 헌신해온 분들의 뜻이 헌법에 온전히 반영되도록 의장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상도 이사장은 “4·3, 5·18, 동학농민혁명 등 국가가 인정한 민주항쟁의 기념식마다 우 의장이 참석해 민주적 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며 “이번 개헌 논의 과정에서 부마항쟁이 재조명되고, 헌법전문에 포함돼 대한민국 민주항쟁의 역사적 맥락이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부산과 마산(현 창원) 지역에서 시민과 학생들이 유신독재에 항거하며 일어난 민주화운동으로, 이후 박정희 정권의 붕괴와 1987년 민주항쟁의 출발점이 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더불어민주당은 부마항쟁을 헌법전문에 포함시키는 개헌 추진 방향을 검토하고 있으며, 관련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