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인뉴스] 이재명 대통령, 엔비디아 젠슨 황과 AI 동맹 논의… “한국, 아시아 AI 허브로 도약”
정범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와 만나 대규모 인공지능(AI)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엔비디아는 한국에 총 26만 장, 약 14조 원 규모의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투입하기로 결정해 국내 산업 전반의 AI 인프라 경쟁력을 끌어올릴 전망이다.
이번 협력은 한국 정부와 주요 대기업이 참여하는 ‘플랫폼 동맹’으로, 한국이 아시아 AI 생태계의 중심 국가로 도약하는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CEO를 접견하며 “블랙록과 오픈AI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이 한국을 아시아 AI 허브로 삼는 프로젝트에 동참하기로 했다”며 “엔비디아 역시 이 혁신 여정의 핵심 파트너가 되어 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엔비디아가 AI 혁신의 속도를 담당한다면, 한국은 그 속도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최적의 파트너”라며 “국제사회와 함께 AI 혁신이 인류 전체의 이익으로 이어지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젠슨 황 CEO는 이에 “한국은 AI 산업 발전의 핵심축이며, 엔비디아는 그 여정에 함께하겠다”고 화답했다. 그는 “AI 인프라 구축, 인재 양성, 스타트업 육성, 자율주행 로봇 등 피지컬 AI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과 실질적인 협력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오늘의 엔비디아를 만든 것은 한국”이라며 “한국이 AI 분야의 리더가 될 가능성은 무한하다(Sky is the limit)”고 평가했다.
이번 협력으로 한국이 확보하게 될 GPU 물량은 총 26만 장에 달한다. 이는 한국이 보유한 기존 GPU 6만5천 장의 약 4배에 달하는 규모로, AI 연구와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속도를 비약적으로 높일 전망이다. GPU는 대규모 연산을 담당하는 AI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이번 엔비디아의 지원은 한국이 글로벌 AI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우선 5만 장의 GPU를 산업 전반에 투입해 AI 개발을 지원하고, 삼성전자·SK그룹·현대차그룹에는 각각 최대 5만 장, 네이버클라우드에는 6만 장을 배정하기로 했다. 특히 이번 협력은 단순한 하드웨어 공급을 넘어, 엔비디아의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AI 팩토리(AI Factory)’라 불리는 지능형 데이터센터 구축을 공동 추진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재명 정부가 강조해 온 ‘주권형 AI(소버린 AI)’ 구상도 이 협력을 통해 한층 가속화될 전망이다.
정부와 엔비디아, 그리고 국내 주요 기업들은 6세대 이동통신(6G), 의료 AI, 양자컴퓨팅 등 차세대 기술 분야에서도 협력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협력은 기술 독립과 산업 자립을 위한 결정적 전환점”이라며 “한국의 AI 산업이 세계 표준을 선도하도록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APEC 회의를 계기로 마련된 이번 만남은 단순한 산업 협력이 아니라, 한국이 AI 기술·산업·인재 생태계를 통합적으로 발전시켜 글로벌 AI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AI 대전환’의 신호탄으로 평가받는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