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인뉴스] 국민의힘 박민영 대변인 장애 혐오 발언 파문… 장동혁 대표 책임론 확산
정범규 기자

국민의힘 박민영 대변인이 장애인 할당제를 비하하며 김예지 의원을 향한 조롱성 발언을 내뱉어 심각한 장애 혐오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당 대변인이 공개 유튜브 방송에서 소수자를 조롱하며 혐오 발언에 동조했다는 점에서 당내 인식과 지도부의 책임 회피가 문제의 중심에 섰다.
정치 대표성 제도가 지닌 헌법적 가치가 훼손됐다는 비판과 함께 국민의힘의 구조적 차별 문화가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민의힘 박민영 대변인은 지난 12일 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장애인 비례대표 제도를 문제 삼으며 장애인을 너무 많이 할당하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는 장애인의 정치 참여 확대를 위해 만들어진 법적 제도의 의미를 전면 부정한 것으로, 소수자가 겪어온 구조적 배제를 이해하지 못한 채 혐오적 언어를 사용했다는 비판을 불러왔다. 더욱 문제가 된 것은 함께 출연한 유튜버가 김예지 의원을 겨냥해 신체적 조건을 조롱하는 저급한 발언을 했음에도 박 대변인이 이를 제지하기는커녕 웃으며 동조한 태도였다. 제1야당의 공식 대변인이 공공연하게 소수자 비하에 가담한 것은 단순한 실수가 아닌 가치관의 문제로 해석된다.
논란이 커지자 박 대변인은 사과보다는 해당 행위 논란과 법적 조치 가능성을 거론하며 자신을 피해자화하는 태도로 일관했다. 문제의 본질은 명백한 혐오 발언임에도 이를 회피하려는 정치적 대응이 오히려 더 큰 반발을 불러왔다. 정치인의 발언은 공적 책임을 전제로 해야 하는데, 박 대변인은 책임보다는 변명에 집중하며 사안을 더욱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대한민국 국회의원 300명 중 장애인 비례대표는 단 3명뿐으로, 전체의 1퍼센트에 불과하다. 이는 장애인의 정치적 대표성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보여주는 단면이며, 이 때문에 장애인 할당제는 대의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필수적 제도로 자리 잡아왔다. 그러나 박 대변인의 발언은 이 제도의 존재 이유와 헌법적 가치를 부정한 것으로, 정치에서 구조적으로 배제돼온 약자를 다시 비하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욱이 국회의원이라는 직무를 수행하는 동료 의원을 조롱의 대상으로 소비한 것은 정치적 공존의 최소한의 선을 넘는 행위다.
이 상황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응이다. 장동혁 대표는 사안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즉각적 조치 대신 원론적 입장만 반복하며 문제를 축소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당 대표는 당 대변인의 혐오 발언에 대해 명확한 책임을 물어야 함에도, 지도부는 사태를 관리 차원에서 봉합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혐오의 언어를 정치적 도구로 활용하는 행태에 지도부가 사실상 묵인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더불어민주당 전국장애인위원회는 박민영 대변인에 대한 즉각 해임과 제명 조치를 촉구하며, 국민의힘 차원의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장애인 정치 참여 확대는 시혜적 조치가 아니라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이며, 이를 조롱하거나 훼손하는 정치 행위는 민주주의 근간을 뒤흔드는 일이라는 점을 재확인한 셈이다.
이번 사안은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한국 정치가 소수자 문제를 대하는 태도가 얼마나 취약한지를 다시 보여주는 사례다. 혐오의 언어가 정치권에서 아무렇지 않게 재생산되는 상황에서는 대표성 확대를 위한 제도적 노력이 무의미해진다. 정치의 품격은 약자를 대하는 태도에서 시작된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이 문제를 엄중하게 다루지 않는다면, 정당 전체가 혐오 정치의 공동 책임을 지게 될 것이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