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 발생 42일만인 지난 12월10일 ‘이태원 참사 유가족 협의회’가 공식 출범한 가운데
16일 오후6시 이태원역 앞에 시민분향소에서 희생자들의 49재가 열릴 예정입니다.
이번 시민분향소는 유가족들이 직접 영정사진과 고인들의 이름이쓰여진 위패를
올렸습니다. 사고직후 정부에서 마련한 분향소에는 이제까지 사회적참사 희생자들의 분향소 설치와는 다르게 희상자들의 영정사진이나 위패가 없이 조화만 올려놓고 추모를 했습니다
그후 (민들레)라는 언론매체에서 희생자들의 이름을 공개했을때 정부인사와 여당측 그리고 거의모든 언론에서는 희생자들의 이름 공개는 “테러,2차가해 등의 단어를 사용하며 희생자들의 이름을 공개한 매체를 강하게 성토하였습니다.
하지만 유가족협의회 측에 의하면 영정사진과 고인들의 이름이 없는 분향소 설치
마음의 상처가 너무 컷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이태원참사 유가족 협의회 출범을 두고 국민의힘당 의원들의 유가족을 향한 도넘은 패륜적 발언이 연달아 논란이 되었습니다
지난 10일 권성동 의원은 페이스북에 “일부 시민단체는 세월호 추모사업을 한다며 세금을 받아가서 놀러 다니고 종북 교육에 사용했다. 이러한 횡령이 반복되지 않도록 범정부 차원의 신중 검토가 필요하다”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권 의원은 “시민단체는 유가족 옆에서 정부를 압박하기 전에, 세월호를 악용한 시민단체의 방만한 폐습부터 어떻게 보완할지 먼저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송언석 국민의힘 수석원내부대표는 11일 국회
본회의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그날 참사는 소위 말하는 해밀톤호텔 옆 골목만 있었던 게 아니다”라며 “현장에서 직선거리로 무려 300m나 떨어진 곳에도 시신이 있었다고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송 의원의 발언은 압사 외에 마약 등의 사인 가능성을 시사한 발언으로 본회의장 발언으로는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송언석의원의 발언에 대해 경찰청 특별수사본부는 현장에서 300m 떨어진 곳에 시신이 있었다는 건 ‘사실무근’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국민의힘 김미나 경남 창원시의원은
참사가 발생하고 일주일이 채 되지 않은 지난달 4일부터 “유족이라는 무기로 그들의 선 넘는 광기가 시작됐다”는 내용을 시작으로 페이스북에 막말 수준의 글을 게시했습니다.
김미나 창원시의원은 “꽃같이 젋디 젊은 나이에 하늘로 간 영혼들을 두 번 죽이는 유족들”이라는 글과 함께 해시태그로 ‘우려먹기 장인들’ ‘자식 팔아 장사한단 소리 나온다’ ‘제2의 세월호냐’ ‘나라 구하다 죽었냐’는 글을 올렸습니다.
지난 11일에 “민주당 저것들은 노란리본 한 8~9년 우려먹고 이제 깜장리본 달고 얼마나 우려먹을까”라며 해시태그로 ‘시체팔이 족속들’ ‘나라 구한 영웅이니’ 등을 게시했습니다.
유가족협의회는 창원중부경찰서에 김미나 의원을 상대로 형법상 모욕죄, 정보통신망법 위반(허위사실 적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장을 접수했다.
민변 박미혜 변호사는 “글들을 보면 누구나 불법행위라는 걸 충분히 알 수 있다”며 “의원이라는 사람이 아무렇지도 않게 불법행위를 했다. 정치적 의도 때문에 불법을 강행했다고 본다”고 주장했습니다.
희생자들의 사진과 이름 공개에 부정적 입장이던 윤 정부와 여당인사들은 이번 유가족들의
영정 사진과 이름을 공개한 분향소 설치에 대통령실이나 행정안전장관 이상민씨의 공식의견은
아직 발표되지 않고 있습니다.
희생자님들의 명복을 빕니다
정범규 기자 chonjiinnew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