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 포토뉴스>
대통령실 이재명 부대변인은 19일 오후 브리핑에서 “YTN돌발영상 사태와 관련해 대통령실 입장
발표에서 지난 15일 생방송으로 진행된 ‘시민패널 100명참석 국정과제 점검회의’와 관련, “대통령과 장관이 국민께 정책 방향을 생생히 설명하는 자리를 폄훼하기 위해 YTN은 테스트 영상을 무단으로 사용해 마치 사전에 기획된 행사인양 악의적으로 편집했다”고 말하며 YTN을향해
돌발영상 사태의 지휘 책임이 있는 분들은 스스로 언론인의 윤리에 부합하는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MBC노조는 대통령실의 발표에 성명을발표했다.
<MBC 노조성명 전문>
지난 15일 대통령의 국민과의 대화 리허설 영상이 코리아 POOL 기자단의 송출 테스트를 위해 각 사 방송국에 송출되었는데 이를 YTN이 허락 없이 녹화한 뒤 실제 방송분과 교묘히 교차편집하여 ‘짜고 치는 생방송’이라는 컨셉으로 ‘돌발영상’을 만들어 방송하였다고 한다.
YTN 동영상 서버에 올라온 생방송 화면을 YTN 돌발영상팀이 재빠르게 받아서 ‘악의적’으로 편집하였고 이를 방송하자마자 민주당에서는 기다렸다는 듯이 비난 성명을 내고 대통령실 공격에 나섰다고 한다.
코리아 POOL 취재단의 허락 없이 영상을 무단 사용한 사실이 드러나자 YTN은 대통령실에 사과하고 그 방송 영상을 내렸다고 한다.
그런데 이번 사건은 어디서 많이 본 듯한 ‘기시감’이 든다.
지난 9월 22일 뉴욕 순방의 대통령 발언 조작 보도 사건에서 나타난 MBC와 민주당의 기민한 행보이다.
당시 MBC 촬영 기자가 POOL 카메라 취재단에 들어가 촬영하였지만 대통령 발언은 현장음 카메라로 녹음되어 명확히 인식되기 어려운 상황이었는데 동영상이 각 방송사에 전달되자마자 MBC 취재 기자가 이 영상을 찾아내 주변 방송사 기자들에게 ‘비속어와 조롱하는 듯한 말이 들린다’는 취지로 전파하였다. 그런데 당시 MBC 취재 기자는 POOL 취재기자가 아니었고 이러한 내용을 각사에 전파할 의무도 없었다. 오히려 전파하는 것은 언론사 관행상 금기시하고 있는 일이었다.
그런데도 MBC 취재 기자는 방송사에 보고하여 방송 계획을 잡았고 동영상 제작 및 방송이 강행되었다. 또한 당시 뉴욕 글로벌 펀드 회의의 POOL 취재기자 (종편 취재기자)의 취재 스크립트가 각 사에 전달되거나 POOL 취재 내용에 대한 대통령실의 확인이 이뤄지기 전에 민주당의 ‘외교참사’ 발언이 나왔다.
지금 와서 따져보면 MBC 순방취재기자는 POOL 취재기자도 아니었고 이를 주변 언론사에 알리는 것 자체가 MBC 고유의 취재 정보를 타사에게 유출한 행위로 사규 위반에 해당한다. MBC도 허락 없는 ‘타사와의 집단 취재’를 금기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실에 대한 전례 없는 공격적인 취재, 사전 허락이나 사규 등을 간단히 무시하는 신속한 보도, 그리고 민주당의 손발이 맞은듯한 비난 성명까지 무언가 잠복했다가 공조해 확산하는 듯한 느낌이 지난 9월 대통령 발언 조작 보도와 이번 리허설 무단 보도에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것이다.
반복되는 일은 우연이 아니다. 돌발영상팀과 민주당의 유착, MBC와 민주당의 유착을 끊으려면 각사의 정치팀 인원의 절반 이상을 소수 노조 기자로 바꾸어 견제하고 감시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YTN의 리허설 영상 보도는 민주당과의 유기적 공조 여부를 반드시 밝혀 일벌 백계하여야 마땅하다.
2022.12.19.
MBC노동조합 (제3노조)
한편 문제가된 영상은 대통령실 풀 기자단에서 방송송출을 안하기로 합의한 영상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이문제에 대해 “질문 리허설은 금시초문이다. 세상천지에 본 적이 없다”며 “문재인 정부 때도 국민과의 대화를 했지만 (리허설은) 전혀 없었다”고 짜여진 각본은 대국민 대화 취지와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청와대 출신인 윤 의원은 20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통상 국민과의 대화에서는 사전 리허설은 반드시 필요하다. 예컨대 사회자 리허설, 카메라 리허설은 당연히 필요하다”면서도 “질문자가 질문하고 답변자가 답변하는 소위 질문 리허설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 시절 국민과의 대화는 방송사에 위임해 제작해 방송사가 사전에 질문지를 절대 주지를 않았다. 그런데 방송사에 위임을 한 게 아니라 이번에는 윤 대통령이 자체 제작을 했다. 특히 질문자는 자신들도 밝혔다시피 부처에서 추천을 받았다”며 “그렇다면 사전 각본에 의한 질문이라는 것이 합리적 의심이 드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그런 합리적 의심에 대해서 답변을 하는 것이 우선이지 (YTN이) 영상을 사용했느냐 안 했냐라는 부차적”이라며 “이를 갖고 논란을 퍼뜨리지 말았어야 했다”고 꼬집었다.
정범규 기자 chonjiinnew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