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UAE에 파병된 아크부대를 방문한 윤 대통령은 “형제국의 안보는 바로 우리의 안보”라며 “아랍에미리트의 적은, 가장 위협적인 국가는 이란이고 우리 적은 북한”이라고 언급했다.
김현정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내고 “우리나라가 이란을 군사적 위협 세력으로 여기고 있다는 매우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며 “이란과의 긴장감을 키워 UAE에 파병된 아크부대를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위험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변인은 “해외순방을 통해 국익을 확보하라고 했더니, 국익을 깎아 먹고 있는 대통령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나”라며 “해외에만 나가면 가는 곳마다 사고, 하는 말마다 망언인 윤석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가장 큰 리스크가 되고 있다”고 비꼬았다.
이어 “이란은 1970년대 대한민국 중동 건설 붐으로 인연을 맺었고, 2016년 ‘포괄적 파트너십’을 채택한 우호협력국”이라며 “외교는 적을 줄여가는 것인데 오히려 적을 늘리겠다는 말인가. 참으로 한심한 대통령”이라고 비판했다.
이러한 논란속에 대통령실과 외교부는 “보도된 발언은 UAE에서의 임무 수행에 최선을 다하라는 취지의 장병 격려 차원 말씀이었다”며 “이란과의 관계 등 국가 간의 관계와는 무관한 바, 불필요하게 확대 해석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외교부의 해명에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있다.
한편 현지시간 16일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이란 정부가 “한국 외교부의 설명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국영 IRNA 통신 등에 따르면 나세르 카나디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현지시간 16일 “이란과 아랍에미리트의 관계에 대한 한국 대통령의 발언을 들여다보고 계속 지켜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한국 당국자가 말한 것으로 인용된 발언이 “UAE를 포함한 페르시아만 연안 국가와 이란의 역사적이고 우호적인 관계, 급속하게 일어나는 긍정적인 전개를 전적으로 모르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주장했습니다.
카나디 대변인은 또 “한국 정부의 최근 스탠스, 특히 이란과 UAE의 관계에 대한 외교적으로 부적절한 한국 대통령의 발언을 심각하게 지켜보고 평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고 IRNA 통신은 전했다.
尹 대통령의 발언이 이란과의 심각한 외교적 문제로 부상할수도 있다는 관측이 야당으로
부터 나오고있다.
尹 대통령의 이란 국기에대해 가슴에 손을얹고 경례를 한 논란과 이란을 UAE 적으로 규정한 듯한 발언은 한동안 뜨거운 논란으로 예상된다.
정범규 기자 chonjiinnew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