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4-11-07
7일,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와 기자회견에 대해 여러 시민단체들이 강력한 비판을 쏟아냈다. 대통령이 국민의 궁금증에 대해 소상히 설명하겠다고 했으나, 각종 의혹에 대한 해명은 없었다는 점에서 “파국을 부르는 담화”라는 혹평이 이어졌다.
참여연대는 기자회견 직후 입장문을 발표하며, “대통령에 대한 일말의 기대를 허물고 파국을 부르는 담화”라고 지적했다. 특히, 인적 쇄신은 인사 검증을 이유로 유예하고, 김건희 여사에 대한 특검법은 “인권유린”이자 “정치선동”이라며 거부 의사를 분명히 한 점을 질타했다. 대통령이 김 여사에 대한 특검을 거부하는 한편, 공천 개입 의혹에 대해서도 부인한 것에 대해 “본인의 육성이 공개됐음에도 ‘공천개입’은 없었다고 부인하면서 진상 규명은 모르쇠했다”고 비판했다.
경실련은 윤 대통령이 공천 개입 의혹을 부인하고, 김 여사에 대한 특검 수용을 거부한 것에 대해 실망감을 표명했다. 이들은 이미 공개된 녹취록을 통해 윤 대통령이 공천 지원을 지시한 정황이 드러났다고 주장하며, 정치적 중립성 위반과 직권 남용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경실련은 독립적인 진상조사 기구 설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윤석열OUT청년학생공동행동은 대통령실 맞은편에서 집회를 열고, “대통령만 다른 세상에 있는 걸까 싶었다”며 기자회견이 수많은 의혹에 대한 해명도 해소도 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날 오전, 민생경제연구소와 검사하는 변호사모임 등 시민단체는 윤 대통령과 김 여사, 국민의힘 김영선 전 의원을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위반,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고발했다. 이들은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의 직권과 직위를 악용해 정당 경선과 공당의 공천 과정에 불법 부당하게 개입한 행위”라고 주장하며 법적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시민단체들의 혹평은 윤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진정한 소통의 기회가 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정범규 기자 뉴스제보 chonjiinnew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