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4-12-11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대한민국의 비상계엄 선포 소식을 보도하기 시작했다. 이는 사태 발생 일주일 만으로, 북한은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이 소식을 전하지 않고, 대남 풍선 도발 및 비난 공세를 중단하며 상황을 관망해왔다.
조선중앙통신은 11일 “괴뢰한국에서 비상계엄 사태로 사회적 동란이 확대되고, 전역에서 100만명 이상의 군중이 윤석열 탄핵을 요구하는 항의 행동을 전개했다”고 전했다. 또한, 이 같은 뉴스는 주민들이 보는 종이신문인 노동신문에도 실렸다.
북한은 “심각한 탄핵 위기에 처한 윤석열 괴뢰가 불의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파쇼 독재의 총칼을 국민에게 서슴없이 내대는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났다”며, “여러 대의 직승기와 륙군특수전사령부의 깡패무리를 비롯한 완전 무장한 계엄군을 내몰아 국회를 봉쇄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조선중앙통신은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야권의 탄핵소추안 발의 및 표결, 여의도에서 이루어지는 집회 상황을 상세히 보도하며, 대한민국의 정국 전개에 중대한 변수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비상계엄 사태를 보도하는 데 있어 여러 고민이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북한은 강력한 군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군대의 통제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국가안전보위부와 보위사령부 같은 감시 통제기관이 다수 존재한다.
김정은 정권에 있어 대한민국의 비상계엄 사태는 한미, 한일 동맹 강화와 대북 전단 살포 등으로 갈등이 심화된 윤석열 정부의 자중지란이라는 점에서 반가운 소식일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국내 정치 문제로 군대가 집단 행동을 했다는 점은 북한에게도 부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특히, 북한은 남한의 반란 소식을 전하는 것이 자국 군인들의 반란을 부추길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으며, 동원된 군인들이 민간인들에게 아무런 조치를 하지 못하고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이는 것 역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결국, 전문가들은 12·3 비상계엄이 단기적으로 북한에 군사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며, 북한 매체의 보도 또한 이러한 결론을 반영한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정범규 기자 뉴스제보 chonjiinnew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