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5-02-23
검찰이 공익 제보자 강혜경 씨의 휴대전화를 지난해 4월에 확보한 것으로 보도됐다. 창원지검이 이미 확보한 강 씨의 휴대전화에는 지난해 9월 이후 언론 보도와 민주당의 공개를 통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이른바 ‘명태균 녹취’ 수천 건이 담겨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그동안 어떤 조치를 취했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명태균 게이트’가 불거지자 수사 인력을 보강하며 부산을 떨었던 검찰은 사건의 핵심인 김건희 여사를 소환조차 하지 않았다. 1년 가까이 수사하는 척만 해왔고, 선관위로부터 사건을 넘겨받은 2023년 12월부터 따지면 무려 1년 2개월 동안 수사할 기회를 스스로 걷어찼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제 서울중앙지검에서 수사를 하겠다고 하지만, 미진한 수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이 명태균-김건희 공천 개입 등 핵심 의혹을 파악한 시점은 검찰보다 앞섰던 것으로 보인다. 여론 조작의 뒷거래로 의심되는 ‘김영선 공천개입’을 국민의힘은 김영선 의원 지역구에 대한 당무감사를 통해 이미 파악하고 있었다. 2023년 10월 17일, 국민의힘은 당무감사 대외비 보고서를 작성했으며, 그 안에는 김건희 여사의 공천 개입설과 명태균 씨의 역할, 여론 조작 의혹 등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었다.
노종면 원내대변인은 “명태균은 영부인, 김종인, 이준석 등과의 친분을 과시하며 자신이 모든 것을 통제하고 있다고 발언했다”며, “명태균이 여론 조사 조작 등을 통해 당선시켰다고 주장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국민이 알기 1년 전부터 이미 이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이에 대해 노 대변인은 “부끄럽지 않습니까? 공당이 맞습니까?”라며, 김건희 특검에 명태균 의혹까지 수사 대상에 포함되자 기를 쓰고 반대했던 이유가 바로 이것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명태균 특검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은폐에 앞장서 온 국민의힘과 검찰은 더 이상 발언할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최상목 대행과 법무부도 ‘특검은 예외적이고 보충적이어야 한다’는 주장을 그만두고, 상황의 심각성을 인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범규 기자 뉴스제보 chonjiinnew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