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문수? 타락문수!”… 민주당, 김문수 후보의 ‘권력 사유화’ 전력 강도 높게 비판

정범규 기자
더불어민주당 ‘진짜 대한민국’ 중앙선대책위원회 신속대응단이 5월 16일 성명을 내고,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에 대해 “청렴이라는 단어는 어울리지 않는다”며
과거 행적을 일일이 지적하며 “권력 사유화와 부정 인사행정의 전형적 사례”라 강도 높게 비판했다.
신속대응단은 성명에서 “김문수 후보의 행적을 보면 청렴이 아닌 ‘타락’이라는 단어가 더 어울린다”며,
그가 경사노위 위원장으로 재직하던 시절의 측근 챙기기, 비리 전력자 기용, 직무 태만 등을 지적했다.


▶ 경사노위 자문위원에 ‘김문수TV PD 출신’… 회의는 0회, 수당은 1억
가장 먼저 도마에 오른 것은 김문수 후보가 경사노위 위원장 시절, 유튜브 채널 ‘김문수TV’ 관계자 출신을 자문위원으로 위촉한 사실이다.
해당 인물 최 모 씨는 김 후보의 서울시장 선거 당시 수행팀장이었으며, 노동 관련 이력은 사실상 전무한 인물로 알려졌다.
최 씨는 자문회의에 단 한 차례도 참석하지 않았음에도 1억 원가량의 수당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신속대응단은 “사실상 김 후보의 수행비서였던 인물에게 자문위원직을 선사한 것”이라며,
“수행도 자문이라고 할 수 있느냐”고 날을 세웠다.
▶ 측근 배우자까지 챙겨… “국힘 선대위 상근 부대변인 임명까지”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최 씨의 배우자 역시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상근 부대변인으로 임명된 것으로 알려져,
더불어민주당은 “김 후보의 ‘제 식구 챙기기’는 끝이 없다”고 지적했다.
“지인을 결혼식 주례까지 서줄 만큼 아끼는 건 자유지만,
자격 없는 측근에게 공적 경력을 선심 쓰듯 나눠주는 것은 국민이 결코 용납할 수 없는 권력 남용”이라는 비판이 이어졌다.
▶ 비리 전력자까지 고위직 앉혀… “경사노위를 사적 복지부대로”
신속대응단은 또 하나의 충격적 사례로,
김문수 후보가 자신의 지지단체 상임대표였던 이 모 씨를 경사노위 대외협력실장으로 임명한 것을 언급했다.
이 씨는 MB정부 시절 원전 비리로 3억 원을 수수하고 징역형을 선고받은 전과자로,
공적 기구인 경사노위의 고위직에 기용되었다는 사실에 논란이 집중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술에 취한 상태로 택시기사를 폭행한 인물을 대변인으로 임명했다가
비난 여론이 들끓은 뒤에야 물러나게 한 사례도 함께 지적됐다.
▶ 전문위원 대거 해임… 법원 “심사 없이 해고는 위법” 판결까지 받아
노동권 보호를 목표로 한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이 정당한 사유 없이 전문위원들을 무더기로 해고한 사실도 다시 조명됐다.
해당 인사조치는 결국 고등법원에서 ‘심사 없는 해고는 위법’이라는 판결을 받았다.
신속대응단은 “노동권 수호의 중심에 있어야 할 위원장이 오히려 노동자를 내쫓는 권력형 인사권 남용을 저질렀다”고 꼬집었다.
▶ “사회적 대화 한 번, 합의 두 건”… 성과 없이 1억 원 수령
김문수 후보는 경사노위 위원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실제로 자신이 주재한 대면 회의는 단 한 차례에 불과했고,
공식적으로 성사된 사회적 합의는 단 두 건으로 집계됐다.
신속대응단은 “이는 역대 위원장 중 꼴찌 수준의 성과”라며,
“그 사이 김 후보는 1억 원이 넘는 직책 수당을 수령했다”고 지적했다.
▶ “청렴이 아닌 타락”… 신속대응단 “청렴이란 단어 쓰지 말라”
성명 말미에서 민주당 신속대응단은 “김문수 후보의 과거는 결코 청렴하지 않다”며,
“극우 측근 챙기기, 비리 전력자 등용, 직무 태만, 공적 시스템 사유화는 청렴이 아닌 타락의 사전적 정의에 가깝다”고 규정했다.
“내란과 극우라는 프레임에 가려진 김 후보의 실체는 ‘타락문수’ 그 자체”라며,
“앞으로 ‘청렴’이라는 단어를 함부로 사용하지 말 것을 강력히 경고한다”고 마무리했다.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 저작권자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