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오월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 5·18 묘역 찾아 눈물, 전야제는 불참
정범규 기자

국민의힘 김문수 대통령 후보가 17일 광주를 방문해 5·18 국립묘지를 참배하며 “오월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방명록에 적었다. 김 후보는 헌화와 묵념 중 눈물을 보였지만, 5·18 전야제와 기념식에는 불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김 후보는 광주 북구 운정동에 위치한 5·18 국립묘지를 찾아 박기순·윤상원 열사, 박관현 열사 등 주요 인물들의 묘소를 참배했다. 그는 박관현 열사 묘역 앞에 오랜 시간 머무르며 “박 열사의 방에서 수감 생활을 했다. 그 누님이 아직도 매년 찾아오신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김 후보는 이후 광주교도소 옛터를 방문한 뒤,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저 역시 5·18의 희생자 중 한 명이다. 그 고통은 자유와 인권, 민주주의를 위한 밑거름이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날 김 후보의 광주 방문은 광주 시민사회의 강한 반발 속에 진행됐다.
현장에서 항의 시위를 벌인 광주 지역 시민단체들은 “내란 세력은 지금 당장 광주에서 떠나라”, “민주정부 건설을 위해 역사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외쳤다.
특히 김 후보의 5·18 기념식 및 전야제 불참 배경에는 국민의힘이 지난 14일, 5·18 진압 작전을 지휘했던 정호용 전 국방부 장관을 상임고문으로 위촉했다가 급히 철회한 논란이 자리하고 있다.
해당 인선이 알려지자 5·18 단체와 지역 사회는 즉각 반발했고, 김 후보 측은 기념식 참석을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 안팎에선 김문수 후보의 5·18 묘역 참배가 역사 앞에서의 성찰이 아닌 선거용 상징 행보라는 비판과 함께, “극우 인사와의 연결고리를 끊지 못한 국민의힘의 이중적 태도”가 도마에 오르고 있다.
5월의 광주, 그곳에서 김문수 후보가 흘린 눈물은 진정한 반성과 기억의 자리였는지, 아니면 과거를 덮으려는 정치적 연출이었는지, 해석은 여전히 엇갈린다.
뉴스 제보 : chonjiinnews@gmail.com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저작권자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