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인의 죽음까지 악용한 극우 가짜뉴스
- ■ 여론조사 조작·공보물 훼손… 선거방해 본격화
- ■ 선방심의위 ‘각하’ 남발… 공정성 스스로 포기했나
정범규 기자
더불어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가짜뉴스대응단이 5월 22일(목) 일일 브리핑을 통해 “허위사실 유포와 선거 방해 행위를 일삼는 극우세력에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이날 브리핑에 따르면, 가짜뉴스대응단 산하 ‘민주파출소’에는 하루 만에 2,229명의 유권자가 방문했고, 총 1,509건의 제보가 접수됐다. 제보 유형 중에는 **네이버 게시물(32.88%)**이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도 유튜브(12.92%), SNS(16.11%), 커뮤니티(10.80%) 등 다양한 경로에서 허위사실 유포 사례가 확인되었다.
“고인까지 이용한 정치공세… 인간의 선 넘었다”
브리핑에 따르면, 대전시의원의 사망을 두고 일부 극우 성향 이용자들이 “이재명이 죽였나?”, “이재명 때문이다” 등 근거 없는 정치적 비방을 유포하는 행위가 제보되었다. 민주당은 “고인의 죽음을 악의적으로 정치화하고, 이재명 후보를 악마화하려는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강하게 경고했다.
또한, 이재명 후보의 선거 포스터 및 공보물을 훼손하고 SNS에 인증하는 행위 역시 다수 접수되었다. 일부 이용자들은 벽보에 비방 문구를 기입하거나 구멍을 내는 방식으로 훼손한 뒤 인증 게시글을 올리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벽보 발로 차기’ 등 영상 인증까지 등장해 파장이 커지고 있다. 민주당은 “이는 공직선거법 위반에 해당하며, 2년 이하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여론조사 조작 의심된다”… 특정 언론·유튜버들에 강력 대응
가짜뉴스대응단은 ‘여론조사공정’이 발표한 수치에 대해 조작 가능성을 지적했다. 동일한 날 발표된 NBS, 미디어토마토 등의 조사에서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의 지지율 격차가 14%p 수준이었던 반면, 여론조사공정은 3.2%p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여론조사공정이 임의 조작 가능성이 높은 RDD ARS 방식 100%를 사용했다는 점을 문제삼으며, “극우 세력의 정신승리를 위한 조작 여론조사일 수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아울러, 성창경TV·서정욱TV·전한길뉴스 등 극우 유튜브 채널에서 이재명 후보와 김혜경 여사에 대한 허위사실이 담긴 콘텐츠 총 233건을 모니터링하여, 구글에 신고 및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고발했다.
“선거방송심의위, 제 역할 포기… 무책임한 각하 반복”
민주당은 선거방송심의위원회의 각하 결정이 반복되고 있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5월 2일 TV조선 ‘뉴스9’에서 민주당 의원총회 관련 허위 내용을 방송한 건에 대해, 선방심의위는 “선거와 무관”하다며 각하했다. 이미 지난 4월 30일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105건의 심의를 전면 각하한 전례가 있다.
민주당은 “선거기간 중에도 단 3차례만 열린 심의회의로는 공정한 선거보도 감독이 불가능하다”며, 심의위원회의 ‘해태 의혹’을 제기하며 공식 해명을 촉구했다.
“오차범위 무시한 보도, 유권자 판단 왜곡”
민주당은 파이낸셜뉴스, 펜앤드마이크, KPI뉴스 등 복수 언론이 지역별 여론조사 보도에서 오차범위를 무시하고 특정 후보에 유리한 서열화 방식으로 보도한 사실을 지적하며,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에 이의신청을 접수했다고 밝혔다. 언론이 오차범위를 명시하지 않으면 통계적 오류로 인해 유권자 판단을 오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언론의 보다 엄밀한 보도 태도를 요구했다.
“국민의힘, 조직적 허위사실 유포 책임져야”
민주당은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이 ‘공산주의 선언’ 등의 허위사실을 유포한 점을 예로 들며, 국민의힘 의원들의 조직적 허위 유포 행태에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김문수 후보에 대해서는 ‘부정선거론’을 수차례 주장한 점을 들어, “망상의 뿌리가 깊다”며 선거 시스템을 부정하는 위험한 발언을 즉각 중단하라”는 메시지를 전했다.
결론: “허위조작정보는 민주주의를 해치는 범죄행위”
가짜뉴스대응단은 “허위조작정보 유포는 단순한 장난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해치는 범죄행위”라며, 모든 허위정보에 대해 끝까지 추적하고 책임을 묻겠다고 강조했다. 선거를 불과 10여일 앞둔 지금, 공정한 정보와 책임 있는 언론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점이다.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 저작권자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