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3-05-11
한국 정부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Contaminated Water)라는 공식 용어를 ‘처리수'(Treated Water)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처리수’는 일본이 고수하고 있는 표현이며, 한국, 중국과 태평양 도서 국가 일부는 이를 ‘오염수’로 부르고 있다.
<중앙일보>보도에 따르면 11일 오염수 관련 협상에 정통한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그가 “현재 일본이 후쿠시마 원전 부지 내 탱크에 알프스(ALPS·다핵종제거설비)를 통과해 주요 방사능 물질 등을 제거한 물을 보관하고 있지만, 배출 기준에 맞게 처리된 물이 약 30%, 여전히 오염된 물이 나머지 70% 정도”라며 “다만 향후 처리 비율이 높아지면 오염수를 처리수로 바꿔 부르는 게 합리적이라 용어 수정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오염수 용어를 바꾸는 검토 작업은 오는 23일 전후로 3박 4일간 예정된 한국 시찰단의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시찰 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오염수라는 용어를 ‘처리수’로 바꾸기 위해 국제 사회에서 지속적인 노력을 해 왔다. 지난 7일 한국을 방문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도 공식 기자회견에서 “일한 양국 사이에 지속적으로 성의 있는 소통을 희망하는 분야 중 하나가 알프스 처리수다. 일본은 IAEA의 리뷰를 받으면서 높은 투명성을 가지고 과학적 근거에 바탕을 둔 성의 있는 설명을 해 나갈 생각이지만 한국 국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는 점은 잘 인식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한국 정부가 만약 ‘오염수’ 용어를 ‘처리수’로 바꿀 경우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주장에 동조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함께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 금지를 고수해야 할 명분도 약해질 전망이다.
한편 7일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 방류 문제와 관련해 ‘한국 전문가들의 현장 시찰단 파견’에 합의한 것을 두고 “
환경단체들은 정부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들러리를 서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탈핵시민행동은 이날 “한·일 양국 정상은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 투기 중단을 선언하고, 장기 보관 해법을 논의했어야 한다”며 “윤 대통령은 외교적 성과를 위해 (일본의) 오염수 해양 투기의 명분을 쌓아주는 공범으로 전락했다”는 성명을 내놨다.
장마리 그린피스 캠페이너도 “방사성 물질이 어떠한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느냐가 가장 우려되는 부분인데, 이에 대한 언급 없이 현장 시찰을 하는 것은 무의미한 요식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정책위원도 “일본 정부의 오염수 처리에 대한 명분 쌓기에 한국 정부가 도와준 것이라고 평가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범규 기자 뉴스제보 chonjiinnews@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