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인뉴스] 윤석열, 첫 특검조사 15시간 체류에도 실질 조사 5시간…30일 재출석 통보

정범규 기자
체포영장 저지·계엄 해제 방해 등 핵심 조사 상당수 중단돼
윤 전 대통령, 경찰 조사 거부…특검 “조사 방해, 횟수 제한 없이 부를 것”
조사 마치고도 사과 한 마디 없이 귀가…국민 눈높이 외면한 태도 비판 커져
윤석열 전 대통령이 28일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의 첫 소환조사를 받았지만, 조사 시간 대부분을 법적 공방과 대치로 보내며 조사 본연의 목적은 상당 부분 미뤄졌다. 약 15시간 동안 서울고검 청사에 머물렀지만 실제 피의자 신문은 5시간 5분에 그쳤고, 특검은 오는 30일 오전 9시로 2차 출석을 서면 통보했다. 특검은 앞으로 조사할 내용이 많아 “출석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28일 오전 9시 55분 서울고검 현관을 통해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고, 29일 새벽 0시 59분에 귀가했다. 당초 체포영장 집행 저지와 계엄령 문건 삭제 등 내란 관련 혐의 전반에 대한 조사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윤 전 대통령 측 변호인단이 수사관 교체를 요구하면서 오전 조사는 중단됐고 오후부터는 별개의 혐의에 대해 제한적인 조사가 이뤄졌다.
오전에는 파견 경찰관인 박창환 총경이 체포 방해 및 직권남용 관련 신문을 시작했으나, 점심 이후 윤 전 대통령 측이 박 총경이 ‘가해자’라며 조사자 교체를 요구하면서 대치가 발생했다. 결국 윤 전 대통령은 조사실 복귀를 거부하고 대기실에 머물렀고, 특검은 예정된 조사를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특검 측은 이에 대해 “변호인단의 허위 주장과 반복된 방해 행위가 수사의 흐름을 심각하게 저해하고 있다”며 수사 방해 혐의로 변호인단에 대한 조사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이후 오후 4시 45분부터는 검사 신분의 김정국·조재철 부장검사가 조사에 투입되면서 윤 전 대통령은 응했고, 비상계엄 관련 국무회의 의결 과정과 계엄 해제 의결 방해 혐의 등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해당 조사는 2시간 40분가량 진행됐으며, 저녁 식사 후 다시 1시간 25분의 조사가 이어졌다. 윤 전 대통령은 경찰이 참여한 오전 조서에는 서명·날인을 거부했지만, 검사들이 주도한 오후 조서에는 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서 열람은 무려 3시간 이상 이어졌고, 윤 전 대통령과 변호인단은 조서 내용의 상당 부분을 검토하고 수정했다. 박지영 특검보는 “조서는 검토를 거친 뒤 서명됐으며, 윤 전 대통령이 진술을 거부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핵심 혐의 중 하나인 곽종근·여인형·이진우 전 사령관 등에게 지시한 비화폰 기록 삭제 건은 조사조차 착수하지 못했다.
특검은 조사가 끝난 직후 윤 전 대통령 측에 30일 오전 9시 2차 출석 통지서를 서면으로 전달했으며, 윤 전 대통령 측은 출석 여부에 대해 즉답을 피하며 “조율 중”이라고만 밝혔다. 박 특검보는 “공개소환이 원칙이며, 윤 전 대통령이 첫 조사에 응한 태도로 봐서 재출석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조사를 마친 윤 전 대통령은 출석 당시와 마찬가지로 기자들의 질문에 일절 응답하지 않고 곧장 차량에 올라 귀가했다. 체포영장 집행 방해, 비화폰 삭제, 내란 음모 혐의 등 중대한 범죄 의혹으로 국민 앞에 선 전직 대통령이지만, 끝내 국민을 향한 사과나 해명은 단 한 마디도 없었다.
윤 전 대통령은 문재인 정부 시절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을 구속 기소하며 ‘공정한 검찰의 얼굴’로 정계에 진입했지만, 정작 본인이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받는 상황에선 반복된 침묵과 방어 논리로 일관하고 있다. 수사 초반부터 ‘조사자 교체 요구’라는 변칙적 대응으로 일관하며,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최소한의 책임감조차 보여주지 않는 태도에 국민적 분노가 커지고 있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