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인뉴스 사설]
강선우 후보자를 향한 ‘마녀사냥’…익명글에 의존한 언론의 폭주와 보수 야당의 선동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강선우 의원을 둘러싼 최근의 갑질 의혹 공세는, 사실 확인 이전에 이미 결론이 내려진 정치적 마녀사냥에 가깝다. 특히 청문회를 앞두고 국민의힘과 일부 보수 언론은 물론, 지상파와 종합편성채널, 거기에 정치 평론을 자처하는 패널들까지 가세해, 검증이 아닌 낙인을 찍는 방식으로 여론을 몰아가고 있다.
문제의 발단은 국회사무처 익명 커뮤니티인 ‘여의도 옆 대나무숲’ 게시판이었다. 이 공간은 글 작성자의 실명은 물론, 어느 정당 보좌진인지조차 드러나지 않는 철저한 익명 구조다. 그럼에도 다수 언론은 마치 민주당 소속 전직 보좌진들이 일관되게 제기한 사실인 것처럼 보도했다. ‘자택 쓰레기를 보좌진에게 버리게 했다’, ‘고장 난 변기를 수리하라고 시켰다’는 등의 일방적 주장들이 확인 절차 없이 기사화됐고, 이는 곧 언론 전체가 강 후보자를 ‘갑질 정치인’으로 몰아가는 프레임으로 작동했다.
청문회조차 열리기 전에 사실상 ‘유죄 확정’된 듯한 이 분위기는 심각한 문제다. 익명 폭로에 근거한 의혹이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의무적으로 해명해야 할 사안으로 뒤바뀌었고, 언론과 야당은 이를 기반으로 끊임없이 압박을 가하고 있다. 이는 의혹 제기 자체가 목적이 돼버린 한국 정치와 언론의 고질적 병폐를 다시 한번 드러낸다.
강선우 후보자 측은 관련 의혹에 대해 정제된 해명을 제시했다. 먼저, ‘보좌진 46명 교체’ 주장은 실제로는 28명에 불과하며, 이는 의원실의 정기적인 인사 순환과 재편에 따른 합리적인 규모라는 것이다. 또한 자택 내 쓰레기 정리나 변기 수리 등은 “직접적인 피해자의 진술이 아닌 제3자의 주장일 뿐이며, 집에는 상시 가사 도우미가 있어 그런 사적 업무를 보좌진에게 맡길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문제를 제기한 일부 전직 보좌진들에 대해서도, 내부 근태 문제와 갈등이 있었던 인물들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청문회장에서도 이 해명을 무시한 채, “어떻게 쓰레기를 시키느냐”는 식의 감정적 몰이로 논의를 끌고 갔다. 여기에 일부 언론은 이러한 공세를 ‘검증’이라는 이름으로 확대 재생산하고 있으며, 강 후보자에 대한 옹호나 반론은 거의 기사화조차 되지 않는 상황이다.
실제로 강 후보자를 직접 보좌했던 인사의 가족이나 동료 정치인들 사이에서는, 강 의원의 인품과 업무 태도를 옹호하는 발언이 이어지고 있다.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강 후보자는 장애 자녀를 돌보며 사회적 약자에 대한 연민과 실천을 몸으로 보여준 사람”이라며 갑질 의혹을 납득할 수 없다고 밝혔고, 전직 선임비서관의 모친 또한 “2년 가까운 기간 동안 행복하게 일했다는 딸의 말을 통해, 그런 인격에서 갑질은 상상조차 어렵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러한 목소리는 언론 보도에서 철저히 배제되고 있다.
익명 폭로와 정치적 공세, 언론의 편향 보도가 한 데 엉켜 청문회 자체를 왜곡시키고 있는 지금의 구조는, 결국 국민이 진실을 판단할 기회를 박탈하는 행위와 다르지 않다. 이른바 ‘의혹이 존재하므로 이미 유죄’라는 논리는, 정치적 검증의 본질을 흐릴 뿐만 아니라 민주적 인사 시스템의 근간을 훼손한다.
특히 강 후보자가 여성 정치인이며 진보 성향이라는 이유로 과도한 공격 대상이 된 것은 아닌지도 되짚어볼 일이다. 그리고 이러한 공격에 익명과 자극적 프레임으로 동조한 언론과 방송은 과연 저널리즘의 기본을 지키고 있는가.
강선우 후보자에 대한 검증은 청문회라는 합법적 절차에서, 팩트와 논리에 기반한 질문으로 진행돼야 한다. 지금처럼 정서적 선동과 정치적 의도가 섞인 ‘선행 낙인’ 프레임은 결국 사회 전체를 퇴보시키는 길이다. 진실은 조용한 곳에서 드러나며, 언론과 정치권은 이제 그 책임을 분명히 마주해야 할 때다.
진실과 공정한 천지인 뉴스, 정확한 팩트
정범규 기자
뉴스 제보: chonjiinnews@gmail.com
저작권자 © 천지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