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리자
- 2023-06-10
제36주년 6.10 민주항쟁 기념식이 오늘 오전 서울 명동대성당에서 열렸다.
오늘 기념식은 정치권과 시민사회 주요 인사 등이 참여한 가운데 6·10 민주항쟁 소개와 영상 상영, 편지 낭독, 기념사, 합창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행사를 주관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지금 우리 사회는 민주주의 위기에 대해 걱정하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며 “정부가 더 귀 기울이고 대화와 소통을 통해 건강한 민주주의를 만들어가야한다”고 밝혔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윤석열 정권 퇴진’을 구호로 내건 행사를 후원했다는 이유로, 지난 2007년 국가 기념일 제정 이후 처음으로 이번 기념식에 불참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최근 윤석열 대통령 퇴진 등을 구호로 내건 행사에 후원했다는 이유를 들어, 사업회가 주관하는 이날 기념식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통보했다.
지난 8일 ’32회 민족민주열사·희생자 범국민추모위원회’는 오는 10일 서울시청 주변에서 범국민추모제를 개최한다는 지면광고를 냈는데 광고에는 정권 퇴진 문구가 포함됐다.
행안부는 “정부에 대한 공격을 후원한 상황이 됐다”며 기념식 전날인 지난 9일 갑작스럽게 불참 통보를 했다. 행안부는 동시에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에 대한 특별감사도 예고했다.
다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쪽은 애초 해당 단체에 후원을 심사할 당시에는 ‘정권 퇴진’ 등의 문구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한편 김동연 경기 지사는 10일 자신의 사회관계망 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
오늘은 6ㆍ10 민주항쟁 36주년”이라며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는 6ㆍ10 민주항쟁에 많은 빚을 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뜨거웠던 1987년 6월, 민주주의를 열망하는 모든 국민의 마음이 하나로 모였고, 그 헌신과 희생을 기린다”며 “지금의 헌정 체제는 87년 6월 6ㆍ10 항쟁의 산물”이라고 평가했다.
김 지사는 “6ㆍ10 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했고, 윤석열 대통령이 그 여덟 번째 대통령”이라며 “그간 헌정질서 수호를 강조해온 정부가 오늘 기념행사에 불참하는 것은 자가당착이고, 옹졸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6월 10일, 우리는 6.10 민주항쟁을 기리며 그 중요성과 그 역사적인 의의를 되새기는 순간이다. 6.10 민주항쟁은 대한민국 역사상 가장 중요하고 영광스러운 순간 중 하나로, 한국인들의 열정과 희생으로 이루어진 투쟁이다.
6.10 민주항쟁은 1987년에 발생한 민주화 운동으로, 당시 국내에서는 엄청난 정치적인 억압과 탄압이 존재했다. 사회적인 불만과 불평등이 쌓이면서, 국민들은 자유와 인권을 회복하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고 평화로운 시위와 민주적인 투쟁은 전국적으로 퍼져나가며 국내외에서도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 투쟁의 주체는 주로 학생들과 노동자들, 시민사회 단체들이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목소리가 국가의 변화와 민주화를 이끌 수 있는 동력이 될 수 있다는 믿음으로 민주화를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폭력과 억압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평화와 자유를 위해 끝까지 저항하였다.
6.10 민주항쟁의 결정적인 순간은 민주화 요구를 받아들인 노태우 대통령의 선언이었다. 이는 6.29 선거를 약속하며 민주주의 정착을 위한 근본적인 변화를 약속한 것이었다. 이후 국내외에서 향후의 민주화와 평화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었고, 대한민국은 더욱 발전하고 자유로워지는 길을 걷게 되었다.
6.10 민주항쟁은 우리에게 많은 가르침을 전해주었다. 민주주의와 자유는 단순한 희망이 아니라, 힘들게 얻어야 하는 가치이며, 그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
정범규 기자 뉴스제보 chonjiinnews@gmail.com